상속부과2 상속세 부과 받았다면 상속세 부과 받았다면 상속세는 상속개시에 따라 상속인이 피상속인으로부터 이전 받는 재산에 대해 재산가액을 표준으로 하여 상속인에게 과세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사례를 통해 상속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ㄱ씨는 아버지가 사망하기 전 가족회사를 위해서 근저당을 설정해 놓은 강남에 위치 한 4층의 건물과 땅을 상속 받았습니다. 이에 상속세 10억 원을 부과 받았으며 그 후 채무자회사가 부도처리 되어 해당 건물과 땅이 경매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A씨는 구상금을 받는 것이 불가능해 지자 상속세 부과한 것에 대해 경정해 줄 것을 세무서장에게 청구하였습니다. 그러나 청구가 거부되자 A씨는 소송을 제기했는데요. 위 사례에 대해 서울행정법원의 재판부는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 2016. 8. 9. 상속세부과처분 판결에 상속세부과처분 판결에 상속받은 아파트에 대한 가액을 경매에 부쳐 비정상적으로 낮은 값에 상속세를 신고한 것은 인정할 수 없다는 판례가 나왔는데요. 오늘은 이 판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사례를 보면 ㄱ씨는 남편이 사망하게 되어 상속받은 아파트의 가액을 같은 단지 안에 있는 다른 아파트의 매매가격 13억 5,000만원으로 평가하여 상속세를 신고하였고, 납부하였습니다. 그러나 세무당국에서는 조사결과 ㄱ씨가 제시한 아파트 경우에는 임의경매절차에서 매각 된 금액 13억5,000만원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거래를 통해 형성 되어버린 가격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세무당국은 같은 단지 안에 용도, 위치, 기준시가, 종목 등이 비슷한 아파트의 매매사례를 참고하여 16억2,000.. 2016. 7.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