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81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증여를 통해 재산을 취득한 자는 증여세 신고 및 납부의무를 지게 되는데요. 이때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로 관할 세무서장에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하는데요. 이후 증여세 납부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여와 관련하여 골치 아픈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복잡한 소송 진행은 물론 법률 지식이 필요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변호사와의 상의 끝에 소송을 진행해 주는 것이 좋은데요. 오늘은 홍순기변호사와 함께 증여에 관한 소송 사례 한 가지를 보면서 증여세 신고 및 납부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씨는 지난 2005년 아들 B씨의 명의로 하여 증권계좌를 만들었고, 2년 동안 여러 차례 주식을 거래하게 되는 과정에서 주식을 새로이 살 때마다 아들 B씨의 명의로 돌렸습니다. 그.. 2017. 3. 20.
상속권 이혼중 남편사망에는 상속권 이혼중 남편사망에는 상속의 개시 이전이나 이후에 상속인이 가지게 되는 권리를 상속권이라고 합니다. 최근 상속권과 관련하여 각종 사유로 인한 분쟁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만약 이혼소송을 진행하던 남편이 사망했다면 아내에게도 여전히 상속권이 있을까요? 사례와 함께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013년 A씨는 남편 B씨와 말다툼을 벌이던 과정에서 가출하였고, 결국 가정법원에 이혼청구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이에 법원으로부터 이혼을 허가하는 판결과 함께 위자료 청구에 대해서는 기각한다는 판결을 받아냈는데요. 이후 위자료 청구에 관하여 A씨는 즉각 항소를 제기하였습니다. 하지만 얼마 안가 남편 B씨가 갑작스럽게 사망하게 되었는데요. 그러자 사망한 남편 B씨의 자녀 C씨가 A씨가 .. 2017. 3. 18.
[공감신문 2017.03.14]유언대용신탁, 상속분쟁 사전적 예방 및 탄력적인 상속설계 가능… 변호사의 조언 필수 [공감신문 2017.03.14]유언대용신탁, 상속분쟁 사전적 예방 및 탄력적인 상속설계 가능… 변호사의 조언 필수 최근 정부에서는 증권사나 은행 위주로 운용되어 있던 신탁업을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도록 소규모의 신탁 전문법인이나 법무법인(유언신탁) 등 새로운 신탁업자에 진입을 허용하여 전문법인의 출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법무법인 한중의 홍순기대표변호사는 일반적인 상속에는 다양한 변수와 분쟁 여지가 있으며, 상속재산이 많을수록 이를 니누려는 다툼이 치열하기 때문에 상속신탁을 활용하여 상속을 다양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같은 홍순기변호사의 조언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감신문 2017.03.14] 2017. 3. 17.
명의신탁주식 조세회피일까 명의신탁주식 조세회피일까 명의신탁이라는 것은 수탁자에게 재산의 소유명의가 이전되는 것이지만, 수탁자는 외관상 소유자로 표시될 뿐 재산관리나 처분에 대한 권리의무를 가지지 않는 신탁을 뜻합니다. 이러한 명의신탁의 대상재산은 등기나 등록 등 공부에 의해 소유관계를 표시할 수 있는 것에 한하는데요. 금일은 명의신탁 가운데 명의신탁주식에 관한 사안을 보면서 명의신탁주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ㄱ씨와 ㄴ씨는 ㄷ사를 설립할 당시 발기인으로서 참여했습니다. 그 뒤 이들은 각 30%씩 발행 주식을 인수하였는데요. 그러자 국세청에서는 ㄱ씨 등이 ㄷ사 대표인 ㄹ씨에게 회사를 설립할 당시와 여러 차례를 걸친 유상증자 당시에 ㄷ사 주식을 명의신탁했다는 이유를 들면서 상증세법상에 따른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대한 규정에 따라서.. 2017. 3. 17.
[메디컬리포트 2017.03.14]재혼 가정 상속분쟁 예방하려면? [메디컬리포트 2017.03.14]재혼 가정 상속분쟁 예방하려면? 최근 재혼가정이 가파르게 증가하게 되면서 이와 같은 상속에 관한 문제로 법적 분쟁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법무법인 한중의 본 홍순기대표변호사는 재혼하기 이전에 상속재산분할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논의를 부부가 진솔하게 함으로써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었는데요. 이러한 홍순기대표변호사의 조언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디컬리포트 2017.03.14] 2017. 3. 16.
유산상속변호사 기여분결정 청구시 유산상속변호사 기여분결정 청구시 망인의 재산을 상속 받을 때 공동상속인이 있을 경우 상속분 산정 시 고려하는 상속법상 제도가 있습니다. 이를 바로 기여분이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기여분결정은 망인 즉, 피상속인의 재산에 증가나 유지에 관해 특별히 기여한 바 있을 경우 산정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금일은 유산상속변호사 홍순기변호사와 함께 기여분결정 청구에 관한 소송 사례를 살펴보도록 할 텐데요. 먼저 유산상속변호사와 함께 소송이 발단하게 된 사례부터 보겠습니다. ㄱ씨는 어머니 ㄴ씨가 사망에 이르게 되자, 형제들과 상속재산에 대한 분할 문제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그러자 ㄱ씨는 형제들에게 상속재산분할과 함께 기여분결정에 대한 심판 청구를 제기한 바 있는데요. 서울가정법원 재판부는 상속인인 ㄱ씨가 5명의 형제에게.. 2017. 3. 16.
증여세 납세의무자 포괄증여엔 증여세 납세의무자 포괄증여엔 재산을 증여 받을 시 증여 받은 수증자는 그에 따른 증여세를 납세해야 하는 증여세 납세의무자가 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증여세 납세의무자와 관련하여 증여 소송 사례 한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006년 ㄱ씨는 봉천동 인근의 3층짜리 건물을 ㄴ사에 증여했습니다. 이에 ㄴ사는 수 십억 원에 이르는 이익을 회계상 이익금 안에 포함시키고 나서 15억6,000만원의 법인세를 신고한 뒤 납부하였습니다. 그러나 국세청에서는 이에 대해 건물 증여로 판단하였고, ㄴ사의 주식 가치 부분이 증가했다는 것에 대해 ㄱ씨씨로부터 자손들이 증여 받은 것으로 보았고 증여세를 부과했습니다. 이러한 국세청의 처분에 불복한 이들은 증여세 납세의무자가 되는 것은 부당하다며 조세심판원에 심판 청구를 냈.. 2017. 3. 15.
상속법률상담변호사 포기효력 인정되려면 상속법률상담변호사 포기효력 인정되려면 상속포기라는 개념은 상속에 대한 효력을 소멸의 목적으로 상속인이 하는 의사표시를 의미합니다. 이는 가정법원에 신고해야만 하는데요. 이때 상속포기 효력이 인정될 수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는데,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부터 3개월 이내 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은 지켜야 하는데요. 이와 관련하여 할아버지의 채무에 대해 뒤늦은 상속포기를 신고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법원에서는 상속포기 효력을 인정해 줄까요? 상속법률상담변호사 홍순기변호사의 조언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상속법률상담변호사와 함께 사례를 보면 지난 1997년 총 8,700만원의 채무를 지고 있던 A씨가 사망에 이르자, A씨의 아내 B씨 그리고 그의 자녀들을 상속포기 신고를 했습니다. 하지만.. 2017. 3. 14.
주식명의신탁 세금부과될까 주식명의신탁 세금부과될까 부동산 등과 같은 재산을 자신의 명의가 아니라 타인의 명의로 등재하고 실질적인 소유권을 행사하는 제도인 명의신탁은 재산도피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명의신탁 중 주식명의신탁에 대한 증여 소송 사례를 보고자 하는데요. 홍순기변호사와 함께 사례를 통해 이에 주식명의신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005년 A씨의 아버지 B씨는 A씨의 명의로 하여 증권계좌를 만들었습니다. 그 뒤 2년 동안 여러 차례 A씨의 명의로 하여 주식을 사고 팔았는데요. 이에 관할 세무서에서는 A씨의 아버지 B씨가 증여세에 대한 회피 목적으로 A씨에게 주식명의신탁 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여러 차례의 명의신탁 각각에 대하여 가산세와 증여세를 부과하여 총 6억9,000만원을 과세.. 2017.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