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시가2 증여세 신고 기준시가는 증여세 신고 기준시가는 증여 재산을 받게 된 수증자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세무사에서 증여세 신고를 하게 되면서 실제 거래가액이 아닌 기준시가로 하여 증여세 신고를 하게 돼 의뢰인이 추가의 과세를 받게 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까요? 이번 시간에는 홍순기변호사와 함께 증여세 신고 사례를 통해 이에 관해서 파헤쳐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005년 ㄱ씨는 ㄴ씨와 상담을 진행한 뒤 아파트와 해당 아파트의 증여세 납세분인 7,100만원을 아들 ㄷ씨에게 증여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때 ㄴ씨는 세무신고를 하게 되면서 증여재산 가액에 대해 지난 2005년도 기준시가인 4억200만원으로 평가하였고, 이에 관할 세무서에서는 위 아파트에 대한 소유권 이전 등기일을 .. 2017. 6. 21. 수익형 부동산 증여세 등 기준시가 수익형 부동산 증여세 등 기준시가 지난해 부동산 증여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사항을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이는 집값이 내렸을 때 증여를 하는 것이 증여세 부담을 줄이게 될 뿐만 아니라 지난해 증여세 공제금액이 늘어나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경우 성년은 5,000만 원, 미성년자는 2,000만 원으로 공제 금액이 는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실제로 부동산 증여세는 세율이 최대 50%로 높게 나타나는데, 집값이 내려갈 만큼 내렸을 때 자녀에게 증여하는 것이 증여세 절세에 유리한 특징이 있으며, 여기에 증여세 개편으로 지난해부터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게 되는 경우 공제되어지는 금액이 크게 늘어 증여세 부담이 줄어든 것 입니다. 한편, 부동산 증여세의 경우 특히 상가 등의 수익형.. 2015. 2.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