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방법3 사실혼관계 증여 방법 사실혼관계 증여 방법 오늘은 사실혼관계에 있는 처에 대한 증여효과에 대해 사례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박 씨는 주위 사람의 소개로 김 씨를 만나 그를 간병하면서 동거를 했습니다. 김 씨의 처는 오래 전 사망했고, 가족으로는 외아들과 딸이 있는데, 아들은 미국에 살고 있으며, 딸도 외국이민을 갔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김 씨가 건강이 악화되어 입원치료를 받게 되었는데 이 사실을 알고 귀국한 아들과 딸은 김 씨가 자기 사후 유산을 박 씨에게 얼마간 증여하겠다고 한 사실에 대해 기록으로 그런 사실을 남겼다고 해도 사실혼관계 증여는 법적 효력이 없다고 하면서 생긴 문제입니다. 박 씨의 경우 동거중인 김 씨가 사망했을 때 김 씨의 재산을 박 씨가 사실혼관계 증여를 받는 방법에는 재산상속에 의한 경우와 유증에 의하.. 2015. 10. 8. [부동산증여-홍순기변호사] 부동산 우선순위로 똑똑하게 증여하기 [부동산증여-홍순기변호사] 부동산 우선순위로 똑똑하게 증여하기 ☆ 증여재산 공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가장 일반적인 증여세 절세 방법은 증여재산 공제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다. 즉 10년 합산해 배우자는 6억원,성년 자녀는 3000만원,미성년 자녀는 1500만원,기타 친족에게는 500만원까지 세금을 내지 않고 증여할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유념해야 할 것은 증여의 목적이 세금을 내지 않는 게 아니라 자산의 합리적인 이전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일정 부분 증여세를 부담하더라도 자녀의 경우 공제 한도에 1억원을 더한 금액을 증여하는 게 효과적이다. 증여 금액이 공제 한도를 초과하더라도 1억원까지는 최저세율인 10%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 여러 명에게 나눠 증여하는 게 유리하다 증여는 증여받는 사람, 다시 말.. 2012. 1. 31. [증여] 증여세 증여절차와 방법 및 대상 - 홍순기 변호사의 세상사는 이야기 [증여] 증여세 증여절차와 방법 및 대상 - 홍순기 변호사의 세상사는 이야기 "증여세" 란 증여 받은 재산을 과세물건으로 하여 부과되는 국세를 말합니다. 증여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 2조 1항'을 보면 타인의 증여로 인하여 증여일 경우에는 증여재산에 대하여 법에서 정하는 증여세를 부과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는 재산을 증여받은자가 거주자인 경우에는 거주자가 증여받은 모든재산, 수증자가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비거주자가 증여받은 재산 중 국내에 있는 모든 재산을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증여세 산정 순서 1. 증여세과세가액의 산정 증여재산가액의 합계약 - 해당 증여재산에 담보된 채무로서 수증자가 인수한 금액 2. 증여세과세표준의 산정 증여세과세가액 - (증여재산.. 2011. 6. 6. 이전 1 다음